주제: SI 개발자가 서비스 기업으로 갈 수 있을까요? 스타트업으로 이직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방향성 조언 부탁드립니다.
Q1. 현재 SI 근무중인데, 기업 업무로는 실력이 느는 거 같지 않습니다. 스타트업을 가는 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스타트업은 굉장히 독특하기 때문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가 너무 심해서 조언해주기 어렵다.
Q2. 스타트업의 어떤 점이 독특하다 할 수 있을까요??
A. 스타트업은 무엇보다 기업의 성장을 우선시 한다. (당장 살아남아야 하니까)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직원의 개발 실력을 키울 기회 등을 존중해주지 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는 실력을 키울 수 있지만, 당장 내일은 스타트업의 상황이 바뀌어서 다른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
본인의 개발 실력 성장을 목적으로 이직한다면 좋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현재 경제가 너무 안좋다. 투자가 끊긴 스타트업은 언제 망할지 모른다. 반년 후 실업자가 될 수도 있다.
Q3. 그러면 스타트업 이직은 포기하는 게 좋을까요?
A. 현재 글쓴이가 처한 상황을 볼 때, 확실히 스타트업에서 실력이 더 향상될 거 같긴하다.
이직을 하기 전에 투자의 규모, 투자자, 창업멤버들의 경력, 현재 운영중인 서비스를 정확히 파악하고 가길 바란다.
그리고, 위에 말한 리스크를 분명히 감수할 수 있을 때, 가길 바란다.
Q4. 창업멤버들이 IT 서비스 기업인 곳 위주로 가면 좋겠군요 안 그런가요?
A. 전혀 안 그렇다. 서비스랑 투자 규모 등이 훨씬 중요하다.
Q5. 연봉을 낮추는 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음 안 낮추는 게 좋은데, 이 부분도 리스크에 포함된다. 잘 생각하길 바란다.
Q6. FE 3년차 연봉은 어느정도 보는 게 맞을까요?
A. 너무 천차 만별이다 네카라쿠배는 xxxx원정도가 평균이다.
Q7. 그러면, 제가 SI에서 어떻게 해야 서비스 기업을 갈 수 있을까요?
A. 서비스기업 개발자에게 중요한 건 두 가지이다. 기초적인 지식과 서비스 운영 능력이다.
글쓴이는 지금 기초적인 지식도 부족하다. 기초를 정확하고 탄탄히 쌓아라.
서비스 운영능력은 지금 기업에서 앞으로도 못 쌓을 거 같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라. 당연히 서비스 운영능력을 기르고 싶으면 배포는 기본이다. 배포 이후에도 계속 운영을 하면서 다양한 에러를 처리해봐라
두 가지를 잘 쌓은 개발자라면 네카라쿠배도 갈만하다.
Q8. 기초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A. JS와 관련 CS를 정확히 이해하고 언제든 꺼낼 수 있는 걸 의미한다.
기초가 없는 개발자는 계속 찾아보고 복사해서 붙여넣는다. 찾는 데 시간을 다쓰고, 효율도 안 좋고 에러도 자주 발생한다.
하지만, 정확한 기초를 가진 개발자는 모두 고려한 좋은 코드를 짤 수 있다. 이 차이가 매우 크다.
Q9. 프론트엔드의 미래는 어떻게 보십니까?
A. 계속 넓어지며 많은 영역을 차지할 직군이다. 서버나 배포 이것저것 점점 역할이 늘어가고 있다.
Q10. 제가 위에 말한 사항들을 공부하면 좋을까요?
A. 좋긴한데, 아직 그거 생각할 단계는 아닌 걸로 보인다. 기초가 우선이다.
Q11. 현재 회사에 시니어가 없고, 좋은 코드도 없다. 코드리뷰도 받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다.
A. 코드리뷰 돈 주고 할 수 있다. 그런 거 해라. 또, 라이브러리나 오픈소스 코드는 언제든 뜯어볼 수 있다. 그런 걸 공부하는 것도 좋다.
Q12. 마지막으로 조언해주실 사항이 있을까요?
A. 미래를 굉장히 진지하게 고민하고, 본인의 상황(위기)을 잘 파악하고 있어서 잘 될 것 같다.
하지만, 시간은 매우 부족하다. 기초와 사이드 모두 잡아야지만 현재 기업에서 이직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생각하는 것보다 더 독해지고 더 열심히하길 바란다. 힘내라
'개발 일기 > 잡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읽으니 배워야할 게 너무 많다. (0) | 2023.04.08 |
---|---|
0308 상황 검토 (0) | 2023.03.08 |
공부할 게 너무 많다. (1) | 2023.02.02 |
2022년 TIL 반성 (1) | 2023.01.04 |
신년 1분기 계획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