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고리즘 공부목록 자료구조 해쉬 스택 큐/ 우선순위 큐 트리 힙 연결리스트 알고리즘 Greedy 알고리즘 DP 알고리즘 정렬( 퀵, 카운팅, 삽입 등) 알고리즘 부분합 알고리즘 이진탐색 알고리즘 (+BST) 최단경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투포인터 /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완전 탐색 & 백트래킹 기법 Brute Force 순열/ 조합 DFS/ BFS 재귀 심화 위상 정렬 분할-정복 알고리즘 최단경로 (플로이드-워셜, 최소-비용 신장 트리) 알고리즘 Red-Black Tree 알고리 다형성(overload) 공부한 이유 `Error : No overload matches this call error`이란 에러가 발생하였는데, overload가 뭔지 몰라서 공부를 시작하였다. 다형성 프로그램 언어의 다형성은 그 프로그래밍 언어의 자료형 체계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그램 언어의 각 요소들(상수, 변수, 식, 오브젝트, 함수, 메소드 등)이 다양한 자료형(type)에 속하는 것이 허가되는 성질을 가리킨다. 반댓말은 단형성으로, 프로그램 언어의 각 요소가 한가지 형태만 가지는 성질을 가리킨다. ⇒ 쉽게 말하면, 하나의 클래스나 함수가 매우 많은 형태와 동작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overload 와 override은 각각 이 다형성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overload 두 메서드가 같은 .. 위상정렬 알고리즘 (boj_2252) 용도 순서가 정해져 있는 일련의 작업을 차례대로 수행할 때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사이클이 없을 때 사용이 가능하다. (있다면 아마 변형이 필요할 것) 예시는 수강신청이 있다. 기초수학-대학수학- 공업수학, 기초수학-물리학, 물리학-양자역학 등의 커리큘럼이 있을 때, 위 선수과목을 어긋나지 않고 순서대로 듣는 알고리즘을 짜는 법이다. ⇒ 이 글에서는 수강신청을 예시로 많이 들 예정이다. 용어 설명 진입 차수 - 선수과목 수(나에게 들어오는 노드 간선의 수) 진출 차수 - 후수과목 수(내가 다른 노드로 뻗는 간선의 수) 위상 정렬 알고리즘 로직 진입차수가 0인 노드를 큐에 넣는다. 큐가 빌 때까지 다음의 과정을 반복한다. 큐에서 원소를 꺼내 해당 노드에서 나가는 간선을 그래프에서 제거 ⇒ 제거한 그래프를 .. 이전 1 2 3 다음